써빙프렌즈 공식 블로그

세계아동노동반대의 날을 아시나요? 본문

MDGs_새천년개발목표

세계아동노동반대의 날을 아시나요?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5. 31. 13:30

서아프리카의 카카오농장에서 일하는 어린이는 180만명이 넘고, 그 아이들 중 94%는 칼,낫 등의 위험한 도구를 사용한다. 아프리카 남동부의 말라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배 생산지로, 약 8천명의 어린이들이 니코틴을 흡입하며 담배 농장에서 노동하고 있다. 아프리카 빈곤지역의 수많은 어린이들이 노동의 현장에서 꿈과 건강을 잃어가고 있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전세계 아동 수백만 명이 교육ㆍ건강ㆍ여가 및 기본적인 자유권을 침해당하며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이 강제 노동, 불법 활동 등 위험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국제노동기구(ILO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는 전 세계적 관심을 제고하여 아동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2년부터 매년 6월 12일을 '세계아동노동반대의 날'로 제정하였다.


 세계아동노동반대의 날을 통해 아동노동 캠페인을 세계적 운동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각국 정부는 학교ㆍ아동청소년단체ㆍ시민사회ㆍ미디어 등과 연계하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아동노동 캠페인은 아동노동의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은 도덕적 분노, 고용주 개인의 노력, 지역사회 및 국민 행동이라고 촉구하고 있다.

한편 ILO 협약은 아동노동 철폐를 위해 제138조 '최저연령 협약(1973년)'에서 고용 최저연령을 15세 미만으로 정했으나, 1999년 제182조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금지 협약'을 비준함으로써 18세 미만 아동에 대해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노예제, 매춘, 마약 밀매, 무력 분쟁 등)을 금지하도록 규정하였다.

▲출처 : un.org 

아동 노동은 성장기를 거치기도 전에 힘든 노동을 겪으면서 유해한 작업환경으로인해 건강 상의 문제가 발생가능하고, 같은 또래의 아동이 학습할 시기에 노동을 통한 기회 박탈로 아동의 올바른 가치관과 인격형성에 치명타를 입게된다. 그리고 아직 경제적 관념이 확실치 않은 아동에게 너무 일찍이 경제활동에 참여시킴으로서 아동이 갖게 될 물질관이 어떨지 염려된다. 어떠한 꿈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소망하는 바라면 아이들이 자신을 돈을 벌기위한 수단으로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은 배워야 한다. 많은 경험과 학습이 아이들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가 전쟁이후 최빈국에서 선진국대열에 선 것도 가난해도 배워야 산다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새천년개발목표(MDGs)의 두번째 목표인 초등교육의 완전보급의 그 날까지 아동노동이 없어지는 그날까지 우리는 이 날을 기억해야할 것이다.

 

참고

unicef

시사상식사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