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교육
- 탄자니아
- Love in Action
- sdgs
- 긴급구호
- 써빙프렌즈
- 결연
- 세계 인도주의의 날
- haïti
- 아이티
- 아동
- Tanzania
- 국제개발
- 인도
- KCOC
- MDGs
- 새천년개발목표
- Serving Friends
- 러브인액션
- UN
- 지역개발
- WFK
- NGO
- 네팔
- 인도주의
- UNDP
- Nepal
- HIV/AIDS
- 빈곤
- 월드프렌즈
- Today
- Total
목록MDGs_새천년개발목표/Disease_질병 (12)
써빙프렌즈 공식 블로그
작년 8월에 개봉했던 영화, ‘감기’ 기억하시나요?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치사율 100%의 질병이 한국에 발생한다는 내용을 그렸던 영화인데요. 이 질병으로 통제불능이 된 도시와 그 안의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냈었지요. ▲출처 : 연합뉴스 그런데 지금, 아프리카에서도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서아프리카 ‘기니’라는 나라에서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생하여 12명이 감염되었고, 78명이 숨졌다고 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1976년 수단과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60~90%에 이르는 질병입니다. 잠복기간은 2~19일 정도이고, 처음에는 고열, 두통, 근육통과 같은 증상을 보이다가, 점점 피부발진이 ..
▲ 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ema_gd/5222642611/ 우리는 지금 손가락 하나 까딱만 하면 HIV가 뭔지 AIDS가 뭔지 어렵지 않게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HIV가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약자이며, 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라는 것을 줄줄 말할 수 있는 분들도 상당수 계실 것 같고요. 그렇지만 그렇다고 해서 HIV/AIDS가 우리 삶에 가까이 두고 아파하는 문제 같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닥 창궐한 병이 아니기도 하고 또 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우리가 '에이즈'라는 말을 들었을 때 함께 연상되는 단어들이 구하고 돕기보다는 피하고 싶은, 건..
▲ 출처 : http://www.flickr.com/photos/ema_gd/5222642611/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도 글의 말머리에 사용한 이 빨간 리본의 의미를 아시나요? 이렇게 교차로 꼬아진 빨간 리본은 HIV/AIDS를 의미하는 심볼로,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답니다. :-) 세계 에이즈의 날인 12월 1일의 경우 저렇게 가슴에 리본으로 달기도 해요. 혹시 앞으로 저런 빨간 리본을 어디선가 보신다면, 함께 기억해 주세요. 각설하고! 오늘은 조금 과학적인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 다름 아닌 HIV가 어떻게 인체에 들어오느냐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우리는 AIDS라고 하면 막연하게 무서워하고 피하지만, 정작 HIV가 어떻게 전염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요. 마약이나 성 관계 등으로 전염되..
MDGs는 새천년개발목표로 지난 2000년 UN에서 채택된 의제라고 '쯔더'님이 소개한 글을 읽어보셨나요? 그 중에서 저는 6번째 목표인 '질병과의 전쟁'을 소개하겠습니다. ▲출처 : http://www.thegatesnotes.com/Topics/Development/A-Report-Card-on-Helping-the-Worlds-Poor '질병과의 전쟁'이라는 목표는 세가지의 세부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2015년까지 HIV/AIDS 확산을 멈추고 감소세로 돌려놓는 것. 두 번째는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 접근권을 이룩하는 것. 세 번째는 2015년까지 말라리아 및 다른 주요 질병의 발생을 막고 감소세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이 목표가 MDG..
오늘은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의 상당 부분인 18%를 차지하고 있는 사망원인 폐렴에 대해 소개 하려고 합니다. 또한 폐렴이 5세 미만 영유아들에게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출처: UNICEF와 WHO 어린이건강역학 그룹 폐렴이란?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드물게는 곰팡이 균 등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입니다. 어린아이들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인한 폐렴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소아폐렴의 증상으로는 38도 이상의 고열과 기침 등 감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열이 잘 내리지 않고, 평소보다 힘이 없으며 식욕이 감퇴합니다. 또한 구토와 설사 증상이 일어나고,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얼굴, 입술, 손끝과 발끝이 새파랗게 질리는 증상 등도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소아..